본문 바로가기

Text/Art Critic

An Essay on 'Hoiso'

 
 
An Essay on 'Hoiso'
Black Ice
Dec. 20. 2018 - Jan. 05. 2019
Gallery Chosun
Written by Yuri An (Artist)



The word, ‘Hoiso’ in Korean has two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which Chinese characteristic it is based on. ‘Hoiso(回蘇)’ refers to the status of barely reviving after near death. On the other hand, ‘Hoiso(繪素)’ refers to paintings. Artist Han Jin strives to depict the traces of an unanticipated loss that had been condensed*1 to its finest form via her artworks. I add a short note along the ‘Hoiso’ path the artist had created.
 
Throughout her solo exhibitions over the recent years -《Sound from a Distant Space》(2015), 《White Noise》(2016), 《Black Ice》(2018) - we were shown with the fragile but never surrendering reverberation of the artist. The reverberation was the compilation of both the distant sound, which makes its way closer, and also the nearby sound, which makes its way further away – both of which seem to be within reach, but never is. As Han Jin had said, she does not just rely on the visual aspects, but strives to depict the sounds that had been created by the space and objects within. The action may perhaps be the artist’s intuitive response to her inner sound whenever she stands in front of the canvas. Musician Philip Glass wrote ab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earing and playing an instrument as below.
 
“When does the very act of listening begin to happen? In other words, is the musician listening to the music he is playing now, or is listening to the very music that he is about to play in his head? I also do not have a fine answer to this very question. However, one can revert to intuition for an answer. The most ideal is the status of being able to listen to the music being played and also the music about to be played concurrently. In such a case, the music follows the image in the head. Put differently, it is not the shadow that follows the truth, but rather the shadow that precedes the truth.”*2
 
In addition to the audible frequencies that hover over us, there are infinite other sounds in existence. However, to one, the sounds being heard are chosen depending on the space and psychological state the person is in. I wonder if the ‘shadow that precedes the truth’ is the very space where the reverberating sense lingers as ‘something put in place’*3 even after its disappearance. The title of the exhibition, ‘Black Ice’ adequately captures Han Jin’s art producing process, while also being a key to understanding the artist’s artworks. Memories possess in them the inevitable potential to be morphed and faded as time goes by. Depending on when the memory is recalled upon, the form of the memories can take different forms. Han Jin does not try to lock the strongly set memory to the confines of the canvas. Rather, she wholeheartedly accepts the every moment of skids and unsettling states she encounters. Thus, her artistic elements deny to be named definitively, but continue to be played on the canvas concurrently. This resembles the music by Charles Edward Ives, the music the artist continuously listened to while creating the artworks. Charles, an American contemporary composer, is well known for experimenting on atonality, polytonality, accidental music, and more. Many of his music pieces consist of more than two melodies, or multiple melodies of very different character being placed concurrently.
 
“The reason why Ives’ compositions are special is because the music embodies something unique from societal, natural, and other varying aspects. There exists something mystical in his music, which can only be perceived from his own experience. That is precisely what is being depicted in my book. Simply put, I call it mud, ‘musical mud’. From this abundant mud stems not only a single person, but also numerous beings. We can participate in his musical composition thanks to the presence of the mud. In my personal opinion, I think it provides the mystical atmosphere to his music, while also creating something you can also experience. However, even though you experience it, it is not something concrete. In whatever form, you should complete the experience in your own method in order to fully experience the music in your own terms.”*4
 
In <Tone Roads #1>(2016), <Tone Roads #2>(2017), <Tone Roads #3>(2018) drawing series, which are named after Ives’ piece titled <Tone Roads>, Han Jin focused on transitioning tone as used in the music field (i.e., color of sound) into visual language. When the artist decided to experiment the 'Tone' without employing any color, and rather deploying only pencil, she relied on the effect ensued by the varying texture of different kinds of papers. From woodprint paper to mulberry paper, depending on the paper's own thickness and texture, the paper fully succumbed to the ‘Tone’ determined by the artist – by emerging and soaking. Similar to the 'musical mud' possessed by Ives, it embodies its uniqueness, which is irreplaceable. For this reason, the winds, rocks, fragrance, sadness, sense of loss, and solitude encountered along the path of Tone Roads cannot be simplified or condensed into one line or one ‘Tone’. Everything needs its own place. I want to name this 'Han Jin's mud'. Not only does the 'mud' refer to the 'uniqueness' of the artworks, but it also is related to how the artist views the world. Han Jin does not become self-satisfied when being placed in a crevice between the landscape of a memory and the situation before her eyes; rather, she constantly struggles and questions her own eyes. The doubt and anxiety are transformed into energetic movements. In <Shoreline #2>(2017-2018), ocean waves fiercely approaches one as if to conquer her, which is clearly not a calm ocean that is laid out far ahead. Also, in <Was in Sorrow in a Soft Air>(2017-2018) series, there are traces of memories that crosses the tranquil night sky. Han Jin explains that the movements are made from her efforts to perceive the space not just from the horizon, but also from contemporaneous closer and distant views. Previously, she focused on the movement of winds that blew in front of her eyes through her series, <The Song of the Wind> series (2012-2014). In her recent work <Inner Side of the Wind>(2017), a new perspective is added. From a distant view, the grasses are being swayed side by side by fierce winds, but once you make your way through them, and be placed within, there exists a tranquil inner world. The movement is not just confined to visual aspects, but also relevant are the sounds. Just as the artist puts it that when she made her way to the inner side of the forest and was embraced by the wind, she couldn’t hear anything, the winds sometimes calls upon silence. The silence arouses the sense of loss, but also allows you to perceive today in its clearest mode. The moment of holding your breath to trace back the existence which had long before departed you. The wait. Confronting again, and there begins another wait.
 
Hyecho’s travelogue in Chinese titled ‘Wang Ocheonchukguk Jeon’, written in the 8th century, is only partially surviving, as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book are lost. “Eventually arriving at a place by making your way from a place for somewhat period of time.”*5 This sentence seems like rather a clear sentence, but since the book is now survives only in a simplified version, there are multiple comprehensions of the very same sentence. In preparation of this solo exhibition, the artist explains that she read different translations of Dante’s Divine Comedy for comparison. While listening to her relaying this experience, I imagined scholars immersing themselves into ‘Wang Ocheonchukguk Jeon’ as if in search of something divine. They would have been continuously being lost and found back their way through the text, unyieldingly trying to comprehend the texts. Han Jin also does not deliver her memories and experiences on to the canvas easily even though they are of her own. She continuously opens herself to the various possibilities made by the movement of words, focuses on the breaths of the movement, and traces how her works ‘eventually arrives by making its way from a place for somewhat period of time.’ The artist once said the following remark about her work process by referring to Ives’ music: “crippling, crippling, and not progressing easily nor fast, but slowly and unyieldingly towards...” Han Jin continues on the journey. Perhaps, to a place ‘where there is no light or darkness’*6.




*1. 《Black Ice》Artist Note, Han Jin, 2018
*2. 『Words Without Music』, Philip Glass, Translated by Seok-Ho Lee, Franz, 2017
*3. 《Black Ice》Artist Note, Han Jin, 2018
*4. 『Conversing with Cage』, Richard kostelanetz, Translated by Mi-Da Ahn,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96
*5. 『Wang Ocheonchukguk Jeon』, Hyecho, Translated by Soo-Il Jeong, Hakgojae, 2008
*6. Title of Translated Publication of ‘Dante’s Divine Comedy’ by Sae-But Publishing Company. 『Where There is No Light or Darkness (Sae-But Stories 13)』, Translated by Young-Hee Yoon, 1986
 
 


 
 
회소의 서(書)
한진 개인전 《흑빙(Black Ice)》에 부쳐
글. 안유리 (작가)


‘회소’라는 단어는 한자 표기에 따라 두 개의 다른 뜻을 지닌다. ‘회소(回蘇)’는 거의 죽어가다 다시 살아나는 상태를 가리키며, ‘회소(繪素)’라 쓰면, 그림을 뜻한다. 뜻하지 않게 찾아온 큰 상실감의 흔적을 기꺼이 자신의 안으로 안으로 응집시켜*1 그림으로 다시 삶의 자리를 내어주기. 작가 한진이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나는 그녀가 만들어놓은 회소의 길을 따라 작은 기록(書)을 덧붙인다.
최근 몇 해에 걸쳐 선보인 한진의 개인전 《아득한 울림》(2015), 《White Noise》(2016), 《흑빙(Black Ice)》(2018)을 통해, 가장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 다시 가까운 곳에서 먼 곳을 향해 끊임없이 이동하다 멈추고, 손에 잡힐 듯 다가오다 이내 곧 떠나는 소리처럼, 위태롭지만 사라지지 않는 작가의 잔향(殘響)을 볼 수 있었다. 한진 스스로 밝혔듯, 그녀는 단순히 시각에 의존하는 것을 넘어서 대상과 공간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그 소리가 만들어낸 연상의 마주침을 담아 온몸으로 그린다. 그것은 캔버스 앞에 서는 순간, 자신의 내면에 깃든 소리에 스스로 반응하는 행위일지 모른다. 음악가 필립 글래스(Philip Glass)는 듣는 것과 연주하는 것의 상관관계에 대해 이렇게 썼다.
 
“듣는 행위가 일어나는 정확한 시점은 언제인가? 다시 말해 연주자는 지금 그가 연주하는 음악을 듣는 것인가, 아니면 그가 연주하게 될 음악을 앞당겨서 머릿속에서 듣는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해서는 나 역시 준비된 대답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다만 직관에 기대어 답할 수 있을 뿐이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내가 연주하고 있고 그러면서 이제 막 연주하려는 음악을 거의 들을 수 있는 상태다. 그렇게 되면 연주가 머릿속의 그 이미지를 따라가게 되어 있다. 말하자면 실체를 뒤따르는 그림자가 아니라 실체에 앞서는 그림자인 셈이다." *2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이외에도 무수한 소리가 늘 우리 주변에 존재하지만, 청자(聽者)가 마주한 공간, 심리적 상태에 따라 소리는 선택적으로 다가온다. 필립 글래스가 말한 실체에 앞선 그림자라는 것은, 이미 사라져 보이지 않으나 ‘고스란한 그 무엇’ *3 으로 전해지는 감각의 지속성이 발현(發現)된 자리가 아닐까. 이번 전시 제목인 《흑빙(Black Ice)》은 한진의 작업 여정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단어이자, 그 세계를 짐작해 볼 수 있는 열쇠이기도 하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억은 왜곡되고 희석될 가능성이 내포되어있으며, 그것을 소환하는 시점에 의해 기억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한진은 강렬하게 들러붙은 기억을 고스란히 캔버스에 묶어두기보다, 서서히, 그렇지만 자신이 마주하는 매 순간의 미끄러짐과 안착하지 못한 상태를 기꺼이 받아들인다. 때문에 그녀의 그림 속 요소들은 하나의 고정된 이름을 가지길 거부하고, 끊임없이 그리고 동시적으로 캔버스 안에서 연주되고 있다. 이것은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작가가 집중적으로 들었던 찰스 아이브스(Charles Edward Ives)의 음악과 닮아있다. 미국 현대 음악가인 찰스 아이브스는 무조성(無調性), 다조성(多調性), 우연 음악 등을 실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음악은 두 개 이상의 선율 혹은 성격이 전혀 다른 여러 선율이 동시에 진행되는 곡이 상당히 많다.
 
“아이브스의 음악이 특이한 것은 어느 쪽이든, 음악의 사회적 측면에서든, 자연적 측면에서든, 친숙한 곡조에 관련시켜 볼 때 고유한 것을 지녔다는 점이다. 그러면서 그 속에는 우리가 알 수 없는, 아이브스의 경험을 통해서만 알 수 있는 어떤 신비한 것이 있다. 그것이 내 책에 씌어 있는 내용이다. 즉 나는 그것을 진흙, 음악적 진흙이라고 부른다. 그리하여 나에게 이 풍요로운 진흙으로부터 한 사람이 아닌 사회 여러 사람의 존재를 암시하는 그 무엇이 나온다. 그래서 우리는 그 진흙이 있는 까닭에 그의 작품에 참여할 수 있다. 내 생각에 그것은 작품을 신비스럽게 만드는 동시에 당신도 분명히 경험할 수 있는 그 무엇을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경험한다 해도 그것은 확실한 것은 아니다. 어떤 형태로든 당신 자신의 모양으로 듣는 경험을 하기 위해 당신은 당신 자신의 방식으로 그 경험을 완성해야만 한다.” *4
 
아이브스의 곡과 동명인 드로잉 작업 <Tone Roads #1>(2016), <Tone Roads #2>(2017), <Tone Roads #3>(2018)을 통해, 한진은 음악에서 말하는 ‘Tone’ 즉, 음색(音色)을 시각 언어로 전환하는 것에 몰두했다. 작가가 다른 색을 거두고 오로지 연필만을 사용해 Tone을 실험하고자 했을 때, 선명하게 드러나는 색 대신 종이의 차이를 선택했다. 판화지부터 닥나무 종이까지, 각각의 두께와 질감에 따라 종이는 작가가 결정한 Tone을 받아들이고, 떠올랐다가, 스며들었다. 이것은 아이브스가 가진 ‘음악적 진흙’처럼, 무엇으로도 대체될 수 없는 각각의 ‘고유성’을 지닌다. 때문에 소리의 길(Tone Roads)을 따라 만나는 바람, 돌, 향기, 슬픔, 상실, 고독은 하나의 선(line)과 하나의 Tone으로 요약되거나 압축될 수 없다. 각자 자신의 자리가 필요하다. 나는 이것을 ‘한진의 진흙’이라 말하고 싶다. 그 ‘진흙’은 작품의 ’고유성’을 가리키는 것뿐만 아니라, 작가가 세계를 바라보는 태도와도 연결된다. 한진은 자신의 기억 속 풍경과 현재 마주한 상황 사이에서 쉬이 마침표를 찍지 않고, 오롯이 그 시간을 감내하고 분투하며 끊임없이 자신의 눈을 의심한다. 의심과 불안은 시선의 운동감으로 화면에 펼쳐진다. 저 멀리 펼쳐져 있는 잔잔한 바다가 아닌, 자신을 삼킬 듯 달려드는 발아래의 파도(<해안선 Shorelines #2>(2017-2018)), 고요한 밤하늘 위를 가로지르는 기억의 흔적(<부드러운 대기 속에서 슬퍼했었네 Was in Sorrow in a Soft Air> 시리즈(2017~2018))에서, 우리는 작가가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시선과 마주하게 된다. 한진은 수평선과 지평선을 기준으로 공간을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 더욱 가까이 동시에 멀리 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자연스레 만들어진 움직임이라고 말했다. 이전에는 눈앞에 달려든 바람의 흔들림에 집중했다면(<바람의 노래 The Song of the Wind 시리즈(2012~2014)>), 최근작 <바람의 안쪽 Inner side of the Wind>(2017)에서는 하나의 시선이 더해져 있다. 멀리서 바라본 풀들의 거센 흔들림, 풀들을 헤치고 들어서자 순식간에 찾아드는 고요한 내부의 세계. 운동은 시선뿐만 아니라 소리에도 적용된다. 숲 안쪽으로 들어서자 바람이 자신을 꽉 껴안는 순간 아무런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는 작가의 말처럼, 바람은 침묵을 부르기도 한다. 침묵은 상실의 감각을 일깨우면서 동시에 현재를 뚜렷이 인식하게 만든다. 자신의 곁을 떠나간 존재의 흔적을 더듬기 위해 숨을 참는 시간. 기다림. 다시 마주하며, 기다림.
 
8세기 초에 쓰인 혜초의 여행기 『왕오천축국전』은 전체 분량에서 앞뒤가 소실되어 일부만 전해지고 있다. 문장의 구성은 대개 이런 식이다. “어디서 어느 방향으로 얼마 동안 가서 어디에 이르다.” *5 언뜻 매우 명료한 문장 구성처럼 보이지만, 약본(略本)인 까닭에 학자마다 해석이 제각기 다르다. 이번 전시를 준비하면서, 작가는 단테의 신곡을 여러 버전의 번역본을 비교해가며 읽었다고 했다.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왕오천축국전』을 붙들고 있는 학자들의 모습을 상상했다. 어쩌면 혜초 그 자신보다 문장과 문장 사이를 수없이 맴돌며 이미 주어진 길 위에서 방향을 잃다가도 또다시 단어를 길어 올려 발걸음을 멈추지 않는 그들의 마음을 생각한다. 한진 또한 하나의 원전(原典) 앞에서, 설사 자신의 기억과 경험일지라도 쉽게 캔버스로 옮기지 않는다. 한 언어가 또 다른 언어로 완벽하게 번역할 수 있다는 확신 대신 언어의 이동에서 발생한 호흡을 살피고, 붙잡기보다 마음을 내어주며 자신의 그림이 ‘어디서 어느 방향으로 얼마 동안 가서 어디에 이르는지’ 계속해서 더듬고 있다. 작가는 아이브스의 음악에 빗대어 자신의 작업 과정에 대해 이런 말을 했다. “절뚝, 절뚝, 쉽고 빠르게 나아가지는 않으나, 천천히, 하지만 멈추지 않으면서.” 한진은 그렇게, 있다. 어쩌면 ‘낮도 밤도 없는 곳’을 *6 향해.
 
 
 
*1. 《흑빙(Black Ice)》 작가노트, 한진, 2018
*2. 「음악 없는 말」 필립 글래스(Philip Glass), 이석호 옮김, 프란츠, 2017
*3. 《흑빙(Black Ice)》 작가노트, 한진, 2018
*4. 「케이지와의 대화」 리처드 코스텔라네츠(Richard Kostelanetz), 안미다 옮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996
*5.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혜초, 정수일 옮김, 학고재, 2008
*6. 새벗출판사에서 펴낸 단테의 신곡 번역본 제목 「낮도 밤도 없는 곳(새벗이야기들13)」 유영희 옮김,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