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xt/Art Critic

Venue of Sounds, Range of Time - A Letter from Han Jin Solo Exhibition《White Noise》

 

 

Venue of Sounds, Range of Time
- A Letter from Han Jin Solo Exhibition 《White Noise》

White Noise
Oct. 13 - Nov. 13. 2015
Art Space Pool

Photo by Cheolki Hong

Written by Yuri An (Artist)


I once watched a documentary film about a Chinese minority tribe.
They lived in a village surrounded by mountains, making them virtually unreachable from the outside. Furthermore, there happened to be a precipice standing right in between the villages, so one had to dare to move from one village to another. Thu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ose living in another village, people relied on ‘whistles’ as a mode of communication, instead of relying on written forms. They deliver their wishful words from here to there, and again, from there to here by whistling. If looked into closely, each whistle has its own range and strength. Similar to the whales delivering regards to a friend distanced by thousands of kilometers away deep down into the ocean, for the tribe, things are delivered and news of birth and death are shared along with the whistles. Sounds separate a space. Sounds are invisible. However, sounds move along with the time and draws an image. Sometimes to someone’s thoughts, or to someone’s fingertips, the image settles down. I confront the space drawn by the sounds. I listen. I silently listen to the time of the journey that began from the starting point where the sound originated to here. This is what I told Han Jin when I first saw her works. That rather than seeing or reading the paintings, I am listening. That movements of sounds are being played within her paintings.

 

In her artist’s note, Han Jin wrote that “for me, sensing the reality, continuing the memory is akin to recognizing the sounds.’ Why is it that ‘auditory’ senses are so important to an artist who mainly engages in painting works? Perhaps the starting point for the artist’s work is not the canvas itself, but the times of struggling behaviors sensed with the whole body prior to reaching the canvas eventually. To be more precise, they are all different verb tenses. The sounds linger, distantly echo, stay there momentarily, and eventually disperse. At times remotely, at times immersing, and eventually to inner(innig).*1 It ultimately comes to a rightful place. Thus, her works deliver the times of the movement of the sounds to a space, and the auditory medium takes its place on the surface of visualization. As such, artists do not express only by sensing through senses that correspond to their main medium. Suddenly, I think of Charles Reznikoff, who is known as a poet of the eyes. To deliver a verse of one of his poem,

 

Night of reflecting moonlights

The shadows of trees lie within the black puddles in the grass grounds.

 

Her drawings, <Verse of a Night #1>, <Verse of a Night #2> reminded me of this poem. It was very similar to the scene depicted by Reznikoff. If Reznikoff delivers the landscape he confronted to a poem after possessing it with his eyes, Han Jin settles the sounds of the time of reflecting moonlights to the surface of a canvas. And she holds us in place to listen to the verse of the night for a second. Additionally, she employs “tempo rubato”. In Italian, ‘tempo rubato’ means taking something away or stealing it. It refers to a style where a person plays an instrument freely within a pre-determined tempo or rhythm. However, it should not be misconstrued to mean that a person plays on his/her own style by disregarding the given phrases. The responsibility of this method is to return the “stolen” tempos within the phrases and even going beyond to “make another place for it”. Han Jin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asking how one should play the ‘rest’ with respect to tempo rubato. This leads one to ask additional questions as to whether “silence” even has a sound? What is the place for “silence”? For most of the time, “silence” refers to a status without any words. However, to be more precise, silence also exists within the boundaries of sounds, and it is “a sound without sound”.*2 Is silence not the sound of the time passing through the syllables, where a static space creates a sound? Thus, the ‘rest’ within the question of “how to play a rest” refers to the place of time where one note moves to another note. Also, the question is closely connected to the question of how to capture the very moment when ‘white noise’-sound that cannot be categorized into a certain pattern, albeit its undeniable existence-discloses itself to us. To put in another words, the place of the images presented by Han Jin is white noise, the sound of a place where nothing but visualization exists. At this point, it is worth revisiting , <Immersing Night_2> an artwork that is newly introduced in this exhibition. This work is placed in the most inner part of the exhibition space, and two wooden panels are placed behind it just like curtains for a stage. An audience can enjoy the work by standing in front of it, but can also dare to go over to the inner space where the panels stand. In a usual case, an exhibition is curated so as to allow an audience to enjoy it by standing in front of an artwork. However, this work allows a passageway to the back of the work, thereby going beyond the stage. The artist contemplated a method of installing this artwork by imagining a stage for Samuel Beckett’s play. As many are familiar, nothing extreme seems to ever happen in a Samuel Beckett’s play. Two or more people are gathered, but nothing seems to be happening. As mentioned before, this is a situation where nothing happens except that nothing is “happening”.*3 Han Jin places the artwork in place just like the characters in a play, and invites the audience to the flow of time the artwork enjoys in its own place. Just like the differing lights of noon and that of sunset, the artwork changes its appearance depending on the lights and temperature in its very own place. As if nothing happened, Han Jin’s works silently awaits someone in its very own place just like Vladimir and Astra.

 

In her essay book 'A Corner Chinese Restaurant', poet Soo-Kyung Huh writes about her excavating experience as an archeologist. “It is very important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lights of the ground when excavating because whenever the lights change, a new cultural layer manifests itself.”*4 Just like archeologists who read the shadows of the ground and lights of the geography, Han Jin’s artworks lays out the layers of confronted reality and memories on the canvas surface. Within the layers of the surface, numerous notes make their moves. I intently listen. After tuning, the artworks make their moves to their own places on the stage. Lights shine on the stage. I, once again, listen to the time of artworks they play. I wait for the coming sounds of light from the time of Nocturn.




*1.  Quoting the title of an artwork from
*2. 'World of Silence', Max Picard, Translated by Seung-Ja Choi, Ggachi
*3. 'From Cookie to Stone-A Note on Beckett’s French', The Art of Hunger, Paul Auster, Translated by Seung-Ja Choi, Munhakdongnae
*4. 'A Man Bitten by a Scorpion', A Corner Chinese Restaurant, Soo-Kyung Huh, Munhakdongnae

 

 


 

 

소리의 자리, 시간의 음역(音域)
-
한진 개인전 《White Noise》 부쳐

White Noise
2016. 10. 13 - 11. 13
아트 스페이스

. 안유리 (Artist)

오래전 중국의 소수민족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적이 있다.
그들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에 살고 있어서 외부인과의 접촉이 쉽지 않았다. 더욱이 마을과 마을 사이에 거대한 기암절벽이 우뚝 있어 건넛 마을에 가기 위해서는 여러 위험을 감수해야만 했다. 때문에 마을에서 건넛 마을 사람과 소통하는 방법은 문자가 적힌 종이 대신, ‘휘파람이었다. 그들은 각자 전하고 싶은 말을 이쪽에서 저쪽으로, 다시 저쪽에서 이쪽으로 휘파람을 통해 전달한다. 자세히 들어보면 저마다 각각의 다른 음역과 세기를 가지고 있다. 마치 깊은 바닷속의 고래들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친구에게 노래를 통해 안부를 전하는 것처럼, 그들의 휘파람을 따라 물자가 전달되고 누군가의 탄생과 죽음이 전해진다. 소리는 공간을 가른다. 소리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소리는 시간을 이동하면서 하나의 () 그려낸다. 때로는 누군가의 머릿속으로, 다른 누군가의 손끝으로 () 내려앉는다. 소리가 그려낸 공간을 마주한다. 나는 듣는다. 소리가 출발한 곳에서 여기까지, 여정의 시간을 잠자코 듣는다. 이것은 내가 한진의 그림을 처음 봤을 그에게 건넨 말이다. 그림을 보거나 읽는 대신, 듣고 있다고. 소리의 움직임이 그의 그림 속에 연주되고 있다고.

한진은 작가 노트에서나에게 현실을 감각한다는 , 기억을 지속 시킨다는 것은 소리를 인지한다는 이라 밝혔다. 주로 페인팅 작업을 하는 작가에게청각적감각이 이토록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어쩌면 한진 그림의 시작점은 캔버스 위가 아니라 그곳에서 도달하기까지 온몸으로 느끼고 분투한 행위의 시간들일지 모른다.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 각기 다른 동사의 시제들이다. 소리는 머물고아득하게 울리고거기에 있다가, 흩어진다. 때로는 저만치, 때로는 스며들어, 결국 내면(Innig)*1 으로, 제자리를 찾아 도착한다. 따라서 그의 작업들은 소리가 이동한 시간을 공간으로 옮겨오고 있음을 있고, 그것은 청각적 매질(媒質) 시각의 표면 위로 자리하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처럼 예술가들은 자신의 매체에 상응하는 가지 감각만으로 인지해서 표현하지 않는다. 문득 () 시인이라 불리는, 찰스 레즈니코프(Charles Reznikoff) 떠오른다. 그의 () 하나를 옮겨보자면,

 

달빛 비치는

나무들의 그림자들, 풀밭 검은 웅덩이들 안에 누워있다.

 

한진의 드로잉 <밤의 소절 #1>, <밤의 소절 #2> 보고 문득 시가 떠올랐다. 레즈니코프가 묘사한 장면과 매우 흡사한 점을 발견할 있었다. 레즈니코프는 자신이 마주한 세계의 풍경을 담아두었다가 시로 옮긴다면, 한진은 달빛이 비치는 시간의 소리 들을 캔버스 위에 내려 앉힌다. 그리고 우리에게 잠시 자리에 서서 밤의 소절을 듣도록 붙잡아둔다. 그는 발짝 나아가, “템포 루바토 집어 든다. ‘템포 루바토 이탈리아어로 뺏는다거나 훔친다는 뜻이 있으며, 지정된 템포 혹은 리듬에서 자유롭게 조절하는 연주기법을 가리킨다. 기호를 주어진 악구(樂句) 벗어나 단순히 제멋대로 연주한다는 뜻으로 해석하면 곤란하다. 그렇게훔쳐낸박자를 악구(樂句) 내에서 되돌려주어야 하는 , “다른 자리를 만들어주는 까지 기법의 몫이다. 한진은 템포 루바토에 대해쉼표 어떻게 연주할 것인가? 라는 질문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것은 내게침묵 소리를 가지고 있는가? 혹은침묵 자리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으로 이어졌다. 대게침묵 아무 말이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침묵 또한 소리의 영역 안에 존재하며, 그대로소리 없음의 소리이다.*2 음절과 음절 사이를 통과하는 시간의 소리, 멈춤의 공간이 만들어내는 소리가 침묵은 아닐까. 따라서쉼표를 어떻게 연주할 것인가?”라는 질문에서의쉼표 한음에서 다른 음으로 옮겨가는 시간의 자리를 가리키는 것이며, 그사이에 무수히 존재하나 특정한 패턴으로 명명할 없는 소리 , ‘화이트 노이즈 우리앞에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을 어떻게 붙잡을 것인가? 라는 질문과 맞닿아 있는 것은 아닐까. 다시말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만이 유일하게 일어나는 장소의 소리, 화이트 노이즈가 한진이 그려내려는 () 자리가 아닐까. 여기서, 이번 전시를 통해 새롭게 선보인 <스민 #2>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작품은 전시공간의 가장 깊숙한 안쪽에 놓여 있으며 뒤로 개의 나무 패널이 마치 무대의 막처럼 버티고 서있다. 관람객들은 그림 앞에 서서 수도 있고, 패널이 자리한 안쪽 공간으로 과감히 넘어가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벽에 걸린 그림을 앞에서만 관람하도록 연출하는 것이 보통의 경우라면, 작업은 그림의 뒷면 , 무대 너머의 세계로 진입할 있는 통로로 이어진다. 작가는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이 펼쳐지는 무대를 상상하면서 작품의 설치방법을 고심했다. 모두 익히 아는 대로,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은 극적인 순간 혹은 특정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 사람 혹은 여럿이 모여있으나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말은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만 일어나는 상황이다.*3 한진은 자신의 그림들을 마치 무대 인물들처럼 그곳에 세워두고, 관람객들로 하여금 그림이 제자리에서 보내는 시간의 흐름 속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정오의 빛과 녘의 어스름의 빛깔이 다르듯, 그림도 제자리에서 빛과 온도에 따라 미세하게 자신의 모습을 바꾼다.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자리에서 한진의 그림들은 블라디미르와 아스트라공처럼 묵묵히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다.

 

시인 허수경은 산문집 <길모퉁이 중국식당>에서 고고학자로서 발굴경험을 소개한 대목이 있다.
발굴을 빛깔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데, 빛깔이 변할 때마다 새로운 문화지층이 나타나기 때문이다”.*4 한진의 그림들은 고고학자들이 땅의 그림자와 지형의 빛을 읽어내는 것처럼, 자신이 마주하고 있는 현실과 기억이 빚어낸 지층들을 캔버스 위로 쌓아 올린다. 겹겹의 층들 사이로 여러 음들이 움직인다. 나는 기울인다. 튜닝을 마치고, 무대위로 그림들은 하나씩 제자리를 찾아 나선다. 빛이 무대 위를 비춘다. 나는 다시, 그들이 연주하는 그림의 시간들을 듣는다. 녹턴의 시간에서, 다가올 빛의 소리를 기다린다.

 

 

 

*1. 출품작 제목을 인용한 것임.

*2. <침묵의 세계>, 막스 피카르트, 최승자 옮김. 까치

*3. <과자에서 돌까지-베케트의 프랑스어에 관한 노트>, 굶기의 예술, 폴 오스터, 최승자 옮김, 문학동네

*4. <전갈에게 물린 남자>, 길모퉁이 중국식당, 허수경, 문학동네

 

 

 

 

'Text > Art Crit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 Essay on 'Hoiso'  (0) 2023.01.30
Black Ice  (0) 2023.01.30
Towards the completion of something that will never be completed  (0) 2023.01.30
Sound from a Distant Space  (0) 2023.01.30
Outside of the gray zone : Mihye Cha, Jin Han  (0) 2023.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