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e Rooms
세 개의 방 : 이동훈, 이재헌, 한진
22 Augest - 24 September 2024
Opening hours : Tuesday to Saturday, 10am-6pm
(Kiaf&Frieze 주간 9월 3일 - 7일, 추석 연휴 9월 17일은 전시장을 닫습니다. 방문에 참고해 주세요.)
원점으로 돌아가 보고자 한다. 엄밀히 진술하면 원형의 모습으로 복귀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 개인의 사건이 발화한 순간을 상기하고 그와 흡사했던 때를 다시 마주해보려고 한다. 시작은 하나의 방으로부터 출발한다. 이곳은 한 사람의 사상과 몸짓이 개량되는 최소한의 시공간이자 외부로부터 은폐된 은밀한 세계다. 종종 집들이를 통해 이곳이 개방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방문객들은 여전히 그곳의 본모습을 온전히 목도할 수가 없다. 그들이 방문하기로 예정된 시점부터 방주인은 그들이 수용할 만한 상태로 방을 정돈해 두었으니 말이다. 어쩌면 그의 몸과 하나이지 않은 이상, 방은 공공으로부터 비밀로 남겨질 사색의 영역이자 비가시적 광경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객관적으로 ‘그러한 곳’이라고 지목할 수 없는 공간, 볼 수 없기에 부재했다고 단정할 수 없는 미시 세계, 일상이라 치부되어 역사로부터 각광받지 않은 개인의 미지는 소홀하게 여겨졌을 원초적 현실이다. 한편, 방은 건축의 형태로만 존립하지 않을 수도 있다.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존재가 은폐된 공간이라면 그 곳 또한 방의 성질이 성립된 영역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곳에는 누군가에게 납득되기 위한 외압적 선택들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 안에서 벌어지는 사유와 만남, 그리고 표출은 사회적이기보다 실존적이다. 언어적 정립과 공론의 부합 대신 직감과 정동에 따른 내밀한 교감이 허용된 밀실은 개인을 한 명의 단위가 아닌 장소로써 포용한다.
8월 22일(목)부터 9월 24일(화)까지 갤러리 SP는 이동훈, 이재헌, 한진으로 구성된 «세 개의 방 Three Rooms»을 개최한다. 전시는 화이트큐브(White Cube)로 리모델링되기 이전, 사택으로 쓰였던 전시 공간의 흔적을 되살려 불확실한 존재를 마주할 내밀한 공간으로 조성이 되었다. 방의 기능을 상실한 공적인 공간을 다시 ‘방’으로 호명한 전시장은 일상에 맞닥뜨렸던 작가들의 불가사의를 긴밀하게 대면할 임시 거주지로 제시된다. 결과로 드러나는 시각적 양상과 소재는 뚜렷하게 분리되지만, 세 명의 작가들은 공통으로 매체의 제한된 면적 속에 존재의 가벼움을 심층의 공간으로 담아내거나 변형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생물의 즉흥적 움직임을 타임라인으로 펼치는 대신 조각적 순간으로 담아내는 이동훈, 한 인물 안에 여러 타자의 얼굴을 중첩하고 지우므로 가늠할 수 없는 진공을 그려낸 이재헌, 그리고 어렴풋했던 존재의 흔적을 기억과 사료들에 의존하여 회화적 움직임으로 복귀시키는 한진, 이들은 우연히 목격한 찰나로부터 뚜렷하지 않은 존재의 본질을 손끝으로 짐작하고 표상하여 자신 안에 선명한 시공간으로 각인한다. 그러나 작가들의 뇌리에 남은 분명한 인상과 감성 이외에 흔적 없이 사라진 찰나는 완전하게 현현하지 못한다. 사진으로 기록해도, 혹은 비슷한 상황을 반복적으로 마주했을지라도 사건/존재는 정체가 작가들에게 밝혀지기 직전 눈앞에서 멀어져 버린다. 이들에 대한 명료한 근거와 관측이 미흡한 상황 속에서 작가들은 망막에 맺혔던 모습과 몸에 새겨진 기억에 따라 질료를 어루만진다. 회상 속의 막연한 모습과 현시에 구현되는 물질 사이에서 작가들은 사색과 비과학적 연구를 통해 언어로 통용되지 않았던 미시 형상을 명료한 현실로 발현한다. 그 현실은 존재의 원형이 아닌 작가와 존재 사이에서 접촉하고 멀어졌던 순간들이 시공간으로 구축된 이미지이자 형태다. 이처럼 작가들은 있었으나 없는 것처럼 여겨질 일상의 존재를 내밀하게 사유하고 반추상의 형상으로 공간 안에 안착하는 양상을 내비친다.
이곳, ‘세 개의 방’에는 이동훈, 이재헌, 한진의 삶에서 마주했던 가까운 존재들, 그러나 안다고 단념할 수 없는 먼 순간들이 은신하고 있다. 여기서 ‘세 개’는 특별한 상징이나 구체적인 수량으로 직역되지 않는다. 다섯 개의 방으로 구성된 전시장이 세 개의 방으로 분류된 순간부터, ‘3’은 물리적 상태가 아닌 우연과 임의의 관계에 불과하다. 존재들의 정체를 직면하길 원한다면 방으로 들어서야 한다. 들어선 순간에도 관객 여러분은 방 안에 온전히 개방되지 않은 다음 방들을 마주할지도 모른다. 세 개의 방에서 존재를 직시하는 상황들에 따라 3은 5가 될 수도, 10이 될 수도, 혹은 그 이상을 내포할 수가 있다. 그 명료한 시공의 경계는 수가 아닌 공간에 발을 들인 각자만이 알고 있을 것이다. 우연으로 이루어진 선택의 기로 속에서, 명료하지 않은 존재의 실체를 만나볼 방법은 다가감의 연속과 그를 향한 자기 기투, 존재에 대한 개념적 정의가 아닌 존재를 몸 전체로 경유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 개의 방’은 세 개로 분할된 공간이 아닌, 우연의 스침 속에서 우연의 만남을 발견하고, 무명을 호명해 보는 방들로 마련이 된다.
글. 양기찬
Let's go back to the beginning. Strictly speaking, it is not a return to the original form, but try to recall the moment when an individual's event occurred and face that moment again. It starts from one room. This is the minimum space and time where a person's thoughts and gestures are improved, and a secret world hidden from the outside. Although this place is sometimes opened to the public through housewarming events, visitors still cannot see the place in its entirety. From the time they were scheduled to visit, the owner of the room had arranged the room to accommodate them. Perhaps, unless you are one with owner's body, the room will remain an area of contemplation and an invisible sight that will be kept secret from the public. A space that cannot be objectively designated as ‘such a place,’ a microscopic world that cannot be assumed to exist because it cannot be seen, and the unknown of individuals who are dismissed as everyday life and have not been highlighted by history, are primordial realities that would have been neglected. On the other hand, a room may not exist solely as an architectural form. If it is a space whose existence is hidden from the gaze of others, it may also be an area where the properties of the room are established. And there, no externally pressured choices are required to be accepted by anyone. The thoughts, encounters, and expressions that take place here are existential rather than social. The secret room, where intimate communication based on intuition and emotion is allowed instead of linguistic establishment and public opinion, embraces the individual as a place rather than as a single unit.
From Thursday, August 22th to Tuesday, September 24th, Gallery SP will be hosting «Three Rooms» composed by Donghoon Rhee, Jaeheon Lee, and Jin Han. The exhibition revived traces of the exhibition space that was used as a residence before being remodeled into White Cube, and was created as an intimate space to face uncertain existence. The exhibition hall, a public space that has lost its function as a room, is again called a ‘room’ and is presented as a temporary residence where artists can closely encounter the mysteries they encountered in their daily lives. Although the resulting visual aspects and materials are clearly separated, the three artists have in common a tendency to capture or transform the lightness of existence into a deep space within the limited area of the medium. Donghoon Rhee, who captures the spontaneous movements of living creatures as sculptural moments instead of unfolding them through a timeline; Jaeheon Lee, who depicts an unfathomable vacuum by overlapping and erasing the faces of several others within a single character; and memories and historical materials that reveal vague traces of existence. Jin Han, who returns to painterly movement by relying on, guesses and represents the essence of an unclear existence with his fingertips from a moment she accidentally witnesses, and imprints it within herself as a clear space and time. However, other than the clear impressions and emotions left in the minds of artists, moments that disappear without a trace cannot fully materialize. Even if recorded through photography or if similar situations are encountered repeatedly, the event/existence disappears from sight right before its identity is revealed to them. In a situation where clear evidence and observations are lacking, artists touch the materials according to the images formed on the retina and the memories engraved on the body. Between the vague appearances in reminiscence and the material in reality, the artists express microscopic shapes that were not commonly expressed in language as clear reality through contemplation and non-scientific research. That reality is not the original form of existence, but an image and form constructed in time and space of moments of contact and separation between the artist and beings. In this way, artists secretly think about the existence of everyday life that exists but is considered non-existent and shows the aspect of settling in space as a semi-abstract form.
Here, in ‘Three Rooms’, close beings encountered in the lives of Donghoon Rhee, Jaeheon Lee, and Jin Han, but distant moments that cannot be given up even if they are known, are hidden. Here, ‘three’ is not directly translated as a special symbol or specific quantity. From the moment the exhibition hall, which consists of five rooms, is divided into three rooms, ‘3’ is not a physical state but merely a coincidence and arbitrary relationship. If you want to face the identity of beings, you must enter the room. Even at the moment of entering, the viewer may encounter rooms that are not fully open within the room. Depending on the situations facing existence in the three rooms, 3 can mean 5, 10, or more. The clear boundaries of space and time will be known only to each person who has stepped into the space, not numbers. In the crossroads of choice made by chance, the way to encounter the unclear reality of existence is through a series of approaches, self-direction towards it, and through existence through the entire body rather than a conceptual definition of existence. Therefore, the ‘three rooms’ are not spaces divided into three, but rather rooms where chance encounters can be discovered in coincidental passing and names can be called out.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ite Space (0) | 2024.11.23 |
---|---|
The Weird and The Eerie (0) | 2024.06.12 |
Stand Alone (0) | 2024.01.20 |
Turning Up (0) | 2023.11.25 |
The Fool on the Hill (0) | 202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