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 Artwork’s Beginning and End
I seem to receive more and more questions about the beginnings and ends of my artworks. I still have been unable to find a satisfying answer to this question, and I am unsure if I was able to prepare one this time either.
For me, a work does not begin the moment I set up the canvas or pull out a piece of paper. Every moment I am taking things in and storing them in my inner depths, and an artwork begins when I pull up these things from the depths. Therefore, my works feels like a repeating performance of a piece of music where the units of time have been erased—that is, they are similar to a piece of music with no time signature or bars, like Erik Satie’s “Vexations.”
The role of the time signature and bars is important for guiding the musician’s phrasing and enabling articulation. This is similar to how punctuation and spacing tell one where to pause when reading a sentence. For example, as the sentences “Come eat, grandma!” and “Come eat grandma!” demonstrate, a simply change in punctuation can alter the meaning of a phrase without changing the sequence of words. Likewise, a musician may decide to move around a composition ignoring the bars and measures.
When lyricists speak about the difficulty of writing, they mention the need to add or remove words to create lyrics that fit the phrasing of the song. Words like “always,” “forever,” “whenever,” and “as always” may have similar meanings, but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haracters can be exploited to manipulate rhythm.
Therefore, a phrasing with no time signature, bars, or measures allows for a new articulation within repetition and variation.
It is important to embrace the time discrepancies and uncertainties the arise from repetition and variation. Within these time discrepancies and uncertainties there is loss, illusion, and silence, which exist without the need to be read. As someone who creates artworks based on memory, these three elements are important elements that manipulate memory. There is a certain movement that is necessary for reading these elements, and this movement is accompanied by the processes of “going, standing, and staring.” It is the halted repetition of everydayness. If I focus on the variables that arises during my journey to a destination that is within my everyday movements, it will be difficult to arrive at a specified time. However, if I ignore the variable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making a work, I won’t be able to arrive at the work I wan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Erik Satie’s approximately 18-hour work “Vexations,” there are certain variations that occur as a result of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These variations are not an ending but rather constitute a diversity of variations.
∵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work and Space
When visiting a space to install an artwork, one must consider how the artwork and space will relate to one another. This may be like the awareness of composition and form, which naturally arise during the effort to determine out how the notes must be read to play the piece of music as desired. This may also be the result of an artist being influenced by viewing the works other artists who are sensitive to issues of spaces and appreciating certain works of art, such as Gim Yujeong’s Spring Spring, which featur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within a non-linear structure based on memory. For example, the works of artists such as Andrei Tarkovsky, Abbas Kiarostami, Samuel Beckett, Alberto Giacometti, and Mary Oilver can have such an influence
If the barless musical staff of “Vexations” was recontextualized within a folded space, what relationship would it have with paintings? Imagine the free and unencumbered traffic of the visitors as they move through the folded musical notations and imagine the movements that results from their traffic. Similar to Alberto Giacometti’s “City Square” and Samuel Beckett’s Quad, it may also result in the discover of void space.
Equal to the amount of time spent gazing at a certain object, the depth of time within a painting emerges at the intersection of my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actions.
At that moment, it becomes clear that it is not white, but very white.
2021. 한진 Han Jin.
∵ 작업의 시작과 끝
작업의 시작과 끝을 물어보는 질문을 종종 받는다.
아직까지 이 질문에 대한 명쾌한 대답을 하지 못했고 명쾌한 대답을 준비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작업의 시작은 캔버스 혹은 종이를 펼치는 순간이 아니라 매 순간 나에게 다가오는 어떠한 것들에 대해 끊임없이 끌어안고 그것을 내면 깊숙한 곳으로 내려보내기를 반복하지만 기어코 길어 올려진 것들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간혹 나의 작업이 시간의 구성단위가 사라진 악보 위에서 반복되는 연주처럼, 예컨대 에릭사티(Erik Satie, 1866~1925)의 『벡사시옹(Vexations)』에서와 같이 박자와 마디 없는 악보 위에 놓인 것처럼 느껴진다. 박자와 마디의 역할은 연주자의 프레이징(Phrasing)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로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을 만든다. 이것을 문장으로 가져온다면 어디에서 끊어 읽고 쉬느냐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달라지는 지점과 비슷하다. 예컨대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에서 보이는 것처럼 띄어쓰기가 없다면 동일한 글자의 나열이 쉼이 들어가면서 의미 전달이 달라지는 지점과 비슷하다. 간혹 마디가 존재하지만 ‘마디를 가로질러’ 연주하는 경우도 있다. 작사가들의 고충을 들어보면 주어진 곡의 프레이징에 어울리는 가사를 쓰기 위해 어떤 단어를 줄이고 늘리는 과정을 겪는다. ‘늘’, ‘항상’, ‘언제나’, ‘변함없이’ 비슷한 의미를 전달하지만 한 글자와 네 글자 사이 쉼의 역할은 리듬을 다르게 한다. 따라서 박자와 마디가 없는 프레이징은 반복과 변주 속에서 새로운 아티큘레이션을 만든다.
중요한 것은 반복과 변주 속에서 발생되는 시차와 불확실성을 긍정해야 한다.
이 시차와 불확실성 속에는 유실, 허상, 묵음과 같은 읽히지 않아도 존재하는 것들이 있다.
기억을 토대로 작업하는 나에게는 이 존재들이 기억을 수식하는 중요한 단서로 남는다. 이들을 읽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가다. 서기, 한참 바라보기’의 행위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것은 일상성을 멈춘 반복이다. 우리가 일상적인 움직임 안에서 목표한 곳으로 가는 도중 일어나는 변수들에 집중한다면 정해진 시간에 도달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작업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수들을 지나친다면 내가 원하는 작업에 도달하기 어려울 것이다.
약 18시간 소요되는 에릭사티의 『벡사시옹(Vexations)』을 연주하는 과정에서는 연주자에 의해 혹은 청중에 의해 발생되는 변수들이 존재한다. 이 변수들은 종결이 아닌 다양한 변주로 기록된다.
∵ 작품과 공간의 관계
작품이 놓일 공간에 가면 공간과 작품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이는 오선이라는 공간에 놓인 음표들을 어떻게 읽어야지 원하는 연주가 가능한지 노력했던 시간 속에서 자연스럽게 생긴 구성(composition)과 구조(construction)에 대한 감각일 수도 있고, 기억을 토대로 작업하는 과정과 비슷한, 역순행적 구조 속에서 의성어와 의태어의 반복적 구성을 지닌 작가의 작품을 읽었을 때 예컨대 김유정 소설의 《봄봄》 그리고 공간에 대한 사유를 놓지 않았던 예술가들에게 받은 영향일 수도 있다. 예컨대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Andrei Tarkovsky), 압바스 키아로스타미(Abbas Kiarostami), 사뮈엘 베케트(Samuel Beckett), 알베르토 자코메티(Alberto Giacometti), 메리 올리버(Mary Oilver).
『벡사시옹(Vexations)』의 마디 없는 오선을 접힌 공간으로 들여온다면 그림과 어떤 관계를 맺게 될까. 접힌 악보 사이로 종횡무진 거니는 청중의 동선도 상상해보고 그 동선이 만들어낸 움직임도 같이 상상해본다. 어쩌면 자코메티의 『도시 광장』(1949) 혹은 사뮈엘 베케트의 『쿼드』(1981)에서와 같이 void한 지점의 발견이 일어날 수 있다. 어떤 대상을 응시했던 시간만큼 그림 안에서 시간의 깊이는 내가 의도했던 행위와 의도치 않은 행위가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된다.
그때 마치 흰색이 아닌 무척 흰색이 드러난다.
2021. 한진 Han Jin.
"Play very slowly, the 840 repetitions of the piece.
Beforehand, prepare for a serene immobility during an ultimate silence."
It is written as above at the top of the one-pager piano piece, "vexations" by Erik Satie.
In order to fully play this 18 hours long piece, an artist may frequent to a restroom, eat snacks, and even throw away each printed pages of the total 840 pages of the piece in an effort to keep track of how many more repetitions to go. This dynamic opens the room for spontaneous sounds, including the sounds of small talks within the audience, door closings, unintended speeding up of the tempo or abrupt halting of the play by the artist. Hence, the piece is sometimes known as 'troublesome, conundrum'. The spontaneity adds unexpected movement to the piece, allowing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crevice between 'before hand' and 'after hand'.
Such difference in timing is similar to that of 'loss' of 'non-existential'. It serves as an important hint that can characterize certain memories. The remaining memories are those that originally imbedded certain lingering senses but which have now completely faded away. For example, during a walk of a trail on a mountain lacking any human designs during summer days, I observe that the pathway will gradually become narrower, while also observe that the pathway pivots back to being a broader path upon the verge of autume and winter. To gaze at the space for a prolong period of time, I encounter a rather interesting sight; a light wind blows and amongst the many barely clinging leaves on the tree branches, there is one leaf that is unusually swinging faster than the rest. While it is obvious that the wind would not have blown for that one particular leaf, such movement is enough to indicate as such, which is somewhat similar to the probability of witnessing a wind blowing through the rain.
In music, people indicate such moment as Sforzando(sfz). It is intended to have similar effect as 'Accent' although while an accent emphasizes one note more than notes preceding and following such note, Sforzando strives to convey the unique innate vibration of the note that tends to be more instantaneous.
The aforementioned moment which I witnessed and gazed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is very similar to what Sforzando in music is aimed to portray.
2021. 한진 Han Jin.
"840번 반복하여 매우 느리게 연주하라.
사전에 최대한의 침묵 속에서 진지한 부동성을 준비해야 한다."
한 페이지로 작곡된 에릭 사티(Erik Satie)의 피아노 곡 『벡사시옹(Vexations)』 위에는 이와 같은 말이 적혀있다.
약 18시간 소요되는 이 곡을 연주하기 위해 연주자들은 중간에 화장실에 다녀 오기도하고 간식을 먹기도 하며, 반복을 세기 위해 840장을 복사하여 한 연주에 한 장씩 바닥으로 던지며 숫자를 센다. 그래서 작곡가의 원곡을 연주하거나 듣는 행위보다 연주 도중 불현듯 청중이 문을 닫고 나가는 소리, 객석의 대화 소리 혹은 연주자의 갑자기 빨라진 템포와 연주를 중단하는 순간을 목격하게 된다. 그래서 '괴롭힘, 괴로움'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반복 사이에서 돌연히 일어나는 상황은 원곡과 섞여 예기치 못한 움직임을 주어 악상 기호처럼 작용하며 연주의 종결이 아닌, 연주의 '그 직전'과 '그 후에' 발생되는 시차를 경험하게 한다.
이와 같은 시차는 '유실' 및 '허상'의 상태와 닮아있다. 이들은 묵음과 같이 읽히지 않아도 존재하며 기억을 수식하는 중요한 단서로 남는다.
그래서 기억 속에 남겨진 장면들은 기다림의 시간이 중요한데, 예기치 못한 순간에 머물고 사라지는 감각들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가공되지 않은 산길을 오르다 보면 풀숲이 무성해지는 여름에는 점점 길이 좁아지다가 어느덧 가을과 겨울로 가는 문턱에는 무성한 풀들이 점유했던 공간이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한다. 서서히 드러난 공간을 유심히 바라보고 있으면 유독 마음을 흔드는 장면이 있는데, 고요하던 숲에 순간 미풍이 일 때, 나무에 매달린 낙엽들 사이로 유독 한 낙엽만 빠르게 회전하는 순간을 목격했을 때이다. 분명 바람은 특정 낙엽만을 향해 분 것은 아니지만 마치 한 낙엽을 향해 불어오는 듯한 장면은, 바람이 비 사이로 부는 장면을 목격하는 확률처럼 느껴진다.
음악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스포르찬도(sfz)라는 기호로 표시한다. 악센트(accent)와 비슷한 셈여림으로 읽히지만 악센트는 앞, 뒤 음보다 확연한 차이가 있도록 강세를 준다면 스포르찬도는 손가락이 미끄러지듯이 연주하여도 즉 아주 여리게 연주하여도 순간 강함, 그 음만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떨림을 느끼게 해야 한다. 그래서 '돌연히'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내가 목격하고 오랜 시간 응시했던 장면이 스토르찬도와 닮아 있었다.
2021. 한진 Han 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