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xt/Artist's Note

2016

 

 

For me, sensing the reality and continuing the memories are akin to recognizing the sounds. The objects subjected to visualization that are beyond the boundaries of sounds are scattered by leaving vague silhouettes behind or are rather being grouped into similar images. Thus, to see something is like reacting to the sounds embedded in the object even before seeing the visual image.

This is where uneasiness emanates. By remembering the image of an object to which I reacted audibly prior to being exposed to the visualization, I find a corresponding point with that of an object of reality, while I also experience uneasiness due to an estrangement.

 

Sound accompanies vibration and remains with ‘consistency’, while it also acts as a ‘coincidence’, which sustains the next phase. ‘Consistency’ and ‘sustaining coincidence’ are vague and the issue as to how to respect the uneasiness regarding invisible physicality or psychological phenomenon leads to the ultimate activity: ‘to draw’. This finds its way to visualization by the ‘remembering-collapsing’ of the venue where transfer and settlement was repeated in order to eliminate the uneasiness and ‘condensation-elimination’ of materials.

 

The remaining images in the memory serve as the venue for the accumulation of movement and layers/strata, and also are objects of condensation of the traces of the remaining after the disappearance of the substance. Waiting for a time never coming to an end at a place of accumulation of constant movements. Does the effort to capture the time correspond to the ‘complete death’ of the moment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uspension? This question marks another starting point for a new beginning. This is the sound made when the water, which soaks a place little by little, the emotion, which soaks little by little and ultimately transcending the threshold, gets converted into another movement and eventually drops.

 

The sound is ‘afternoon already gone by, but night still yet to come.’ *1

 

 

*1. Schumann, Inner Landscape (La tombée du jour), Michel Schneider, Translated by Nam-Ju Kim, That Book/Open House Books p104

 

2016. 한진 Han Jin.

 

 


 

 

나에게 현실을 감각한다는 것, 기억을 지속시킨다는 것은 소리를 인지한다는 것이다.

소리의 인지에서 벗어난 시각적 대상은 어렴풋한 실루엣만 남긴 채 흩어지거나 비슷한 이미지들로 묶여 그룹화된다. 따라서 무엇인가를 본다는 것, 기억한다는 것은 시각적 이미지를 보기에 앞서 그 대상에 담긴 소리에 반응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불안이 발현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시각 이전에 청각에 반응한 대상의 이미지를 기억하여 현실의 대상과 합일점을 찾기도 하지만 어긋남으로 인한 불안을 경험하기도 한다.

 

소리는 '울림'을 동반하여 '지속성'을 안고 있는 상태로 남아, 다음 상태를 '지탱하는 우연'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지속성'과 '지탱하는 우연'은 불명확하고 비가시적인 물리적 또는 심리적 현상에 대한 불안을 어떻게 존중할 것인가.에 대해 그리기라는 행위로 나아가게 한다. 이는 불안을 소거할 수 있는 장소를 찾아 이동과 머묾을 반복했던 장소에 대한 청각적, 시각적 '기억하기-허물기'와 물리적 '응집-소거'의 반복을 통해 시각화되어간다. 

 

기억 속에 남겨진 이미지들은 움직임의 겹과 결이 누적된 장소로, 오랜 시간 영향을 준 실체는 소거되지만 남겨진 흔적들이 응집된 대상이다. 지속된 움직임이 누적된 곳에서 완료되지 않을 시간을 기다리는 것, 그 시간을 담고자 하는 것은 정신적 그리고 물리적 중단의 순간이 '다한 죽음'으로 가는가.에 대한 물음 앞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조금씩 스민 물이, 조금씩 스민 감정이 임계점을 넘는 순간, 다른 움직임을 바뀌어 떨어지는 소리와 같다.

 

그 소리는 '밤은 아직 기다려야 하고 낮은 이미 아니다.' *1

 

*1. 슈만, 《내면의 풍경(La tombée du jour)》, 미셸 슈나이더 지음, 김남주 옮김, 그 책 p104

 

2016. 한진 Han Jin.

 

 

'Text > Artist's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0) 2023.01.30
2018  (0) 2023.01.30
2015  (0) 2023.01.30
2014  (0) 2023.01.30
2013  (0) 2023.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