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xt/Art Critic

Poetic Monologue : a presence that exists somewhere behind some place

 

 

Review
#34 article : a journal of contemporary art

Poetic Monologue : a presence that exists somewhere behind some place

Outside of the Gray Zone

Apr. 11 - May. 31. 2014
Art Space Pool

Written by Nayeon Gu (Art history, Art Critic)


A poet does not create a poem.
A poem is something that exists somewhere behind some place
It used to be there from a long time ago
And a poet just goes on to find it
- Jan Skacel -

Quite some time ago, I saw similar looking grasses already fully-grown on both sides of the highway. It seemed that it were planted there to cover the not-so-great looking cross-cut sides of a mountain that had been cut to make a way for roads. It looked as if the hair that was shaken out loose had stuck in the ground infinitely, and the movement caused by the wind suddenly seemed grotesque, so whenever my eyes caught these scenes while in a running car, I absentmindedly observed the scenes. This memory had been completely forgotten until I encountered Han Jin’s work. My dormant memory about the landscape of ‘nothing’ had become a reality while standing in front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Song of the Wind #5>. I do not know of the artist’s own experience behind this artwork. I am rather more interested on the point or the instant moment when my own experience and another person’s experience form a relationship through a distinctive representation.

 

Exhibition 《Outside of the Gray Zone》 can be seen as a location for the recovery of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nd audience. The two distinctively discontinuous consciences gain continuity with the help of a particular screen. For example, when standing in front of Mi Hye Cha’s <A Home Without an Address>, an overlapped image of an experience that vaguely remains within a recollection and a personal picture that clearly exists but which cannot be recalled completely no matter how hard one tries, fill the outer area of the frames of her works. As such, their ‘outside’ does not present the outside, but rather a window that allows one to peek through ‘outside’.

 

Let’s go back to <The Song of the Wind #5>. Landscapes depicted by Han Jin are in no way unfamiliar. However, things that are recalled by the artist’s paintings are the accumulated memories that gradually lost their values and that were long forgotten beyond the boundaries of our perception. They are the outside(internal world) memories that are recalled via the representation of the overlooked exterior(external world) of which the existence cannot be doubted. The dark holes among the grasses in the screen act as declaration that the image is of artist’s own and also they act as a passageway for the audience to be drawn into one’s own outside or deep internal world. The fierce image about ‘a thing that is nothing’ which does not have a particular symbolism recovers the instant moment when an object was omitted from one’s attention, and it is also a potent unanimity that permeates into unfamiliar recollection.

 

(...)

 

Han Jin’s work separates the narrativity of an object and transforms it into a floating image, thus making an image into an instant form. Her works float outside of the consciousness and seem to hope for the object and the recognition to wake up in a totally different context. <A Remotely Standing Wall #1> waits for the transitioning moment when a remote object turns into my(yours) image and raises somewhat itchy and ill feeling to an equivocal memory that remains within a person confronting the work. For instance, when I stood in front of the work <Lingering in the Waves of a Night>, I recalled a scene from Kafka’s novel [Amerika].

 

“He (Karl) was able to head to the big road if he would go down the stairs and make the way to the tree-lined road on the right side. The moonlight was bright enough, so there was no worry of getting lost… The surroundings were so quiet such that it was clearly audible for one to hear the sounds of dogs flying off into the grasslands.” *1

 

Milan Kundera cited Jan Skacel’s poem that had been quoted at the beginning of this article when he was mentioning about Kafka. However, it is not only the poets who goes on and find "a presence that exists somewhere behind some place”. It can be said that a truthful poetic movement creates the ‘strange’ moment when potentiality and reality continuously intersects.

 

This exhibition is filled with the monologues of the two artists that are both static and kinetic. However, the realization that the voices of the artists suddenly became my own would be the greatest excitement an exhibition can deliver. In short, this exhibition is like a trapezoid that is formed by two triangles that have vertices on the opposite sides. Mi Hye Cha pushes the internal world to the outside, while Han Jin pulls the external world to the within. Also, if it is possible to peek in the external world through the shape created by the artists, it would be identical to a line from the long poem by Jung Hwan Kim.

 

A form attempts to arrive at its full picture.
However, before it gets there, it is already a sound.


*1. Franz Kafka, [America], translated by Bok Rok Kwak, Sinwonmunhwasa, pp.132-133

 

 

 


 

 

시적 독백 : 저 뒤쪽 어디에 있는 것

회색의 바깥

2014. 4. 11 - 5. 31
아트스페이스 풀

글. 구나연 (미술사, 미술비평)



시인은 시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다
시는 저 뒤쪽 어디에 있는 것
오랜전부터 그것은 거기 있었고
시인은 다만 그것을 찾아내는 것일 뿐
- 얀 스카첼 -

 

오래전 고속도로 양편에 비슷비슷한 풀이 자라난 것을 보았다. 길을 내느라 산을 자른 단면을 가리려고 심어 놓은 모양이었다. 

풀어헤친 머리카락이 무수히 땅속에 박힌 것 같기도 하고 바람에 휘둘리는 모양이 문득 기괴하게 느껴져 달리는 차 안에서 그런 곳이 눈에 뜨일 때마다 무심히 살피고는 했다. 이 기억은 한진의 작품을 볼 때까지 까맣게 잊혀 있었다. 그 '아무것도 아닌' 풍경에 대한 나의 잠재된 기억이 <바람의 노래 #5> 라는 표상을 가운데 두고 현재화된 것이다. 나는 이 작품의 뒤편에 자리하고 있는 작가의 경험을 알지 못한다. 다만 나의 경험과 타인의 경험이 특정한 재현을 통해 관계를 형성하는 지점 혹은 그 찰나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회색의 바깥> 전은 미술과 관객이 마주함에 있어 지극히 본질적인 관계를 회복하는 장소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전혀 다른 두 개의 불연속적인 의식이 특정한 스크린으로 인해 연속성을 획득하는 것이다. 예컨대 차미혜의 <주소없는 집> 앞에 섰을 때, 기억에는 있으나 확실치 않은 체험의 중첩된 이미가가, 아무리 더덤어도 뚜렷하게 떠오르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어떠한 개인적 영상이 그의 작품 프레임 바깥을 채우는 것이다. 이 점에서 이들의 '바깥'은 바깥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바깥'을 볼 수 있도록 낸 창문에 가깝다.

 

다시 <바람의 노래 #5>로 돌아가 보자. 한진의 풍경은 결코 낯선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의 회화가 일깨우는 것은 우리 안에 누적된 기억의 이미지들에게 그 가치를 잃어버려 지각의 저편으로 사라진 것이다. 그것은 분명히 있으나 지나치는 바깥(외부 세계)의 재현을 통해서 시작되는 바깥(내부 세계)의 기억이다. 화면 속 풀들 사이에 난 어두운 구멍은 이미지를 작가의 고유한 것으로 선엄함과 동시에 관객 저마다의 먼 바깥, 아니면 깊은 심연 속으로 이끄는 통로 역할을 한다. 뚜렷한 상징성을 지니지 않는 '아무것도 아닌 것'에 대한 치열한 이미지는 시선에서 탈락한 찰나적 순간을 회복하고 있으며, 낯선 기억으로 침투하는 강력한 익명이기도 하다.

 

(중략)

 

한진의 작업은 대상이 지닌 서사성을 도려내어 부유하는 이미지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이미지를 즉자적 형상으로 이동시킨다. 그의 그림들은 인식의 바깥에서 부유하면서 대상과 인식이 전혀 다른 맥락 속에서 깨어나기를 바라는 것처럼 보인다. <저만치 벽 #1>은 저만치의 대상에서 나(너)의 이미지로 탈바꿈되는 시간을 기다리면서, 어느덧 마주 보고 있는 사람의 분명치 않은 어떤 기억에 소양감을 일으킨다. 일례로 나는 <밤결 속에 머물다.> 앞에서 카프카의 소설 [아메리카]에 나오는 한 장면을 떠올렸다. 

 

"그(카를)는 그 계단을 내려가 오른쪽의 가로수 길을 들어서기만 하면 큰길로 빠질 수 있었다. 밝은 달밤이라서 길을 잃을 염려는 없었다...주위가 너무 고요했기 때문에 개들이 훌쩍 풀숲 속으로 뛰어드는 기척까지도 똑똑히 들을 수 있었다." *1

 

밀란 쿤테라는 카프카를 설명하면서 이 글 맨 앞에 인용한 얀 스카첼의 시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저 뒤쪽 어디에 있는 것"을 찾아내는 것은 비단 시인뿐이 아니다. 기실 시적 행위가 불러일으키는 것은 잠재와 현재가 끊임없이 교차되는 '이상한' 순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정적이며 동시에 시적인 두 작가의 독백으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그들의 목소리가 어느덧 나의 목소리로 변해 있는 것을 느끼는 일은 하나의 전시가 줄 수 있는 최고의 즐거움일 것이다. 요컨대 이 전시는 각기 반대 방향에 꼭짓점을 둔 두 삼각형이 만들어낸 사다리꼴 같다. 차미혜는 내부 세계를 외적으로 밀어내는 반면, 한진은 외부 세계를 내적으로 끌어당긴다. 그리고 이들이 만든 도형을 통해 바깥을 엿볼 수 있다면, 그것은 아마도 김정환이 기나긴 시 <거룩한 줄넘기>에서 보왔던 구절과 같으리라 생각한다.

 

형상은 몸을 흐르며 전모에 달하려 한다. 

그러나 그것은 전모에 달하기 전에 이미 소리다. 

 

 

*1. 프란츠 카프카, [아메리카], 곽복록 옮김, 신원문화사, pp.132-133